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요즘 많은 분들이 일상에 쉼표를 찍기 위해 ‘한달살기’를 선택하고 있습니다.
그런데 이 한달살기, 지자체 지원금으로 무료 또는 저렴하게 체험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2025년에도 다양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홍보 및 인구 유입을 위해
한달살기 지원금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.
이 글에서는 전국 지자체별 한달살기 지원사업 정보와 신청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📌 한달살기 지원금이란?
각 지자체에서 숙박비, 체험비, 일부 식비 등을 지원해주며
대부분은 지역 체험 및 SNS 후기 작성, 설문참여 등 간단한 활동만 하면
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✅ 누구나 신청 가능 (거주지 제한 없거나, 수도권 거주자 우대)
✅ 1인당 최대 수십만 원 지원
✅ 선착순 or 심사형 (신청 시기 중요!)
🗺️ 2025년 주요 지자체 한달살기 지원금 리스트
1.
전남 강진군 – 강진에서 한 달 살기
- 지원대상: 만 19세 이상 누구나
- 지원내용: 숙박비 70~100% 지원 + 문화체험 제공
- 참여조건: SNS 후기, 마을 행사 참여 등
- 신청방법: 강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
2.
경북 영양군 – 도시민 한달살기
- 지원대상: 수도권·대도시 거주자
- 지원내용: 숙소 100%, 체험비 지원 (최대 4주)
- 특별혜택: 귀농·귀촌 연결 프로그램 운영
- 신청링크: 영양군청 귀농귀촌지원센터
3.
전북 진안군 – 진안고원 한달살기
- 대상: 진안 외 거주자 누구나
- 내용: 숙박비 최대 90%, 체험 프로그램 제공
- 조건: 체험 후기 업로드 필수
- 신청: 진안군 관광과 (전화접수 또는 이메일)
4.
경남 고성군 – 느릿한 한달살기
- 조건: 만 19세 이상, 거주지 무관
- 혜택: 숙소, 체험, 지역 홍보 활동비 등 전액 지원
- 운영시기: 연 2회 모집 (봄/가을)
- 접수방법: 고성군청 홈페이지 공고문 참고
📌 모든 지역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며, 매년 3~6월 사이 1차 모집, 9~10월 추가모집이 많은 편입니다.
매년 36월 사이 1차 모집, 910월 추가모집이 많은 편입니다.
🔍 신청 전 확인해야 할 3가지 체크리스트
- 신청 대상 & 조건 확인
- 일부 지역은 연령, 직업, 거주지 제한 있음
- 지원금 범위 파악
- 숙소만 제공되는지, 식비/체험비도 포함되는지 체크
- 활동 의무사항 유무
- 블로그 후기, 인터뷰, 설문조사 등의 조건 확인 필수
💡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!
- 지자체 지원으로 비용 부담 없이 여행을 해보고 싶은 분
- 귀농/귀촌을 고려 중인 예비 이주민
- 재택근무 중 워케이션을 원하는 프리랜서 & 직장인
- 아이와 함께 농촌 체험 & 자연 교육을 해보고 싶은 가족
✨ 마무리하며
한 달간의 여행은 긴 시간일 수 있지만,
그 안에서 우리가 얻는 경험과 변화는 평생 갈지도 몰라요.
지자체의 한달살기 지원금 정책을 활용해
지금과는 조금 다른 공간에서,
새로운 삶의 리듬을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?
지금 이 순간이 당신의 새로운 시작이 되길 바랍니다.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댓글
댓글 쓰기